투자 news

못난이 인형 라부부 열풍! 지금 관심가져야 하는 관련주는?

petite ville 2025. 8. 20. 18:22
라부부 인형 열풍 속 주목받는 관련주를 정리했습니다. 팝마트의 글로벌 성장과 SAMG엔터의 티니핑 IP 전략까지, 캐릭터 기반 콘텐츠 산업의 투자 기회를 확인해 보세요. 라부부 관련주에 대한 최신 분석과 종목별 전망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못난이 인형 라부부 열풍, 지금 관심가져야 하는 관련주는?

    1. 라부부 열풍, 그 시작과 현재
    2. 못생겨서 더 매력적인 이유: 어글리 큐트의 경제학
    3. 라부부와 크라이베이비, 그리고 한중일 캐릭터 산업의 폭발적 성장
    4. 지금 주목해야 할 라부부 관련주, 국내 수혜 기업은 어디일까요?
    5.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

 

라부부 열풍, 지금 관심가져야 하는 관련주는?

1. 라부부 열풍, 그 시작과 현재

라부부 인형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는 캐릭터, 바로 라부부입니다. 투자 관점에서 주식 시장에서도 ‘라부부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 글을 통해 그 이유를 조목조목 살펴보겠습니다.

라부부 열풍, 그 시작과 현재
라부부코리아 제공

라부부는 홍콩 출신 아트토이 작가 룽카싱이 2015년 디자인한 캐릭터로, 2019년 중국 완구 기업 팝마트(Pop Mart)가 독점 라이선스를 획득하며 본격적으로 상업화에 성공했습니다. 라부부는 특유의 괴상하지만 귀여운 외모로 ‘어글리 큐트’ 트렌드를 대표하며 소비자들의 감정적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글로벌 셀럽인 블랙핑크 리사와 리한나, 킴 카다시안 등이 인스타그램에 라부부 제품을 인증하면서 인기는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라부부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감정 소비 트렌드의 정착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캐릭터에 감정을 이입하고 위로를 받는 소비 형태는 향후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 못생겨서 더 매력적인 이유: 어글리 큐트의 경제학

혹시 못생긴 것이 매력일 수 있다고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바로 라부부가 증명한 어글리 큐트(Ugly Cute)의 가치입니다. 일반적인 미의 기준에서 벗어난 라부부의 외모는 사람들에게 ‘있는 그대로의 나’에 대한 위로를 줍니다.

이처럼 심리적 위안을 주는 라부부 인형은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서 감정적인 해방구로 작용합니다. 이는 특히 불확실한 경기 상황에서 더욱 각광받는 소비 형태로, 팝마트의 실적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2025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204% 증가한 약 2조7000억 원, 순이익은 무려 396% 급증해 약 89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미주 시장에서 각각 257%, 1000% 이상 성장하면서 글로벌 캐릭터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라부부 관련주로서 팝마트의 성장세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라부부 인형 하나로 이러한 실적이 가능했던 건 단순히 예쁜 캐릭터가 아닌, 감정을 자극하는 메시지 전달 덕분입니다.

지금이 바로 ‘어글리 큐트’와 큐트노믹스(CUTENOMICS)의을 확인하고 관련 시장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3. 라부부 관련주-한중일 캐릭터 산업의 폭발적 성장

혹시 요즘 캐릭터 산업이 얼마나 성장하고 있는지 아시나요?
지금은 단순히 귀엽고 예쁜 캐릭터를 넘어, 감정과 스토리를 담은 IP가 주목받는 시대입니다. 라부부와 크라이베이비는 그 대표 주자입니다.

중국 팝마트는 자체 IP로 만든 ‘더 몬스터스’ 시리즈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라부부가 속한 해당 라인의 매출은 전년 대비 726%나 증가해 약 585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단 하나의 캐릭터 IP가 기업 전체의 실적을 끌어올리는 시대가 왔습니다.

라부부 관련주 산리오
산리오 코리아 제공

일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헬로키티로 유명한 캐릭터 브랜드 '산리오'는 최근 다시 전성기를 맞고 있습니다. 산리오의 주가는 1년간 93%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무려 11조 6000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이처럼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까지 아우르는 ‘한중일 캐릭터 IP 열풍’은 지금 이 순간에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티니핑 시리즈로 유명한 SAMG엔터가 대표로,  잘파세대 소비트렌드에 주목하는 캐릭터 IP를 중심으로 한 소비재 기업으로 가파른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제 캐릭터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리셀 시장에서 프리미엄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감정을 움직이는 IP가 있습니다. 라부부, 크라이베이비처럼 감정표현이 직관적인 캐릭터는 소비자들에게 강력한 인상을 남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금 IP 기반 캐릭터 산업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앞으로의 투자에 있어서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이슈보다 더 중요한 건 산업의 방향성과 흐름입니다.

4. 지금 주목해야 할 라부부 관련주, 국내 수혜 기업은 어디일까요?

라부부의 인기가 이렇게 커지고 있는 지금, “도대체 어떤 종목에 투자하면 좋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기셨을 겁니다.
바로 지금, 관련주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음 투자 기회를 선점해보세요.

먼저 가장 핵심 기업은 팝마트(Pop Mart)입니다. 라부부의 독점 IP를 보유한 중국 기업으로, 실제로 팝마트는 라부부와 크라이베이비 캐릭터를 통해 2024년에만 수조 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홍콩 증시에 상장돼 있어 직접 매수하려면 해외 주식 계좌가 필요하지만, 그만큼 글로벌 캐릭터 산업의 중심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라부부 관련주 티니핑
출처-이모션캐슬스토어

그렇다면 국내 시장에서는 어떤 기업들이 ‘라부부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을까요?
가장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는 바로 국내 부모들에게 파산핑으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은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의 제작사인 SAMG엔터입니다. 캐릭터 IP 기반의 콘텐츠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티니핑은 유아층을 중심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실제로는 라부부보다 국내 인지도가 훨씬 높습니다.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완구, 의류, 문구, 게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며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자체 IP의 성공을 기반으로, SAMG엔터는 최근 기존 유아 중심에서 1030세대까지 타깃을 확대하며 콘텐츠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현대차 등과의 협업을 통해 성인 팬덤을 겨냥한 캐릭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중국과 인도네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도 본격적인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즉, SAMG엔터는 국내에서 검증된 IP 경쟁력을 갖춘 동시에, 라부부와 유사한 감성소비 시장을 겨냥한 확장 전략을 병행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IP 기반 콘텐츠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라부부관련주 주가

 

25년 2분기 단기적으로 실적 미스와 주가 조정이 발생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이를 매수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IP 수익 구조가 단단해지는 2026년부터는 본격적인 실적 반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이와 같은 기업들의 전략과 실적 발표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5.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

투자에는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말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산업이 앞으로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느냐는 점입니다.

라부부 관련주는 단순한 ‘밈 주식’이 아닌, 감정 소비 시대를 대표하는 콘텐츠 자산 기반 투자 종목입니다. IP의 가치가 부각되면서, 실제로 피규어 하나에 수십 배의 리셀 프리미엄이 붙고, 글로벌 수출이 이루어지는 현실은 캐릭터 하나의 경제적 영향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단기 등락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꾸준한 분석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특히, 팝마트, SAMG엔터처럼 IP 라이선스를 주도하는 기업의 움직임은 캐릭터 소비의 대중화와 함께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기업의 실적 발표, 콜라보 소식, 글로벌 진출 계획 등을 중심으로 관련 뉴스를 체크해 보면 새로운 투자 아이디어가 될 수 있습니다.

 

▲ 맨 위로 돌아가기

 

라부부 관련주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