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ow

부자가 되지 못하는 흙수저 고소득층, HENRY족 이야기

petite ville 2025. 8. 29. 12:13
현대 사회에서는 높은 소득만으로는 부자가 되기 어렵습니다. HENRY족(High Earner, Not Rich Yet) 은 고소득을 올리지만 자산 축적에는 실패하는 집단을 뜻합니다. 프랑스의 ‘니콜라’ 사례, 미국의 HENRY 현상, 한국 청년층의 FOMO까지 공통적으로 주거비·교육비·세금·고정비가 자산 형성을 가로막습니다.  강조하는 핵심은 소득을 단순 소비로 흘려보내지 않고 자산소득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고정비를 줄이고, 강제저축률을 설정하며, 자산 바스켓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부의 격차를 줄이는 첫걸음입니다.

부자가 되지 못하는 흙수저 고소득층, HENRY족 이야기


HENRY족 이야기

1. 연봉은 오르는데 왜 부자가 안 될까?

지난주 슈카월드를 보는데 나온 한국의 Henry 이야기. 처음에 미국의 karen 같은 밈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것보다는 심오한 뜻이 담긴 사회적 현상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  

연봉은 오르는데 왜 부자가 안 될까? HENRY족 이야기

 

최근 사회에서 자주 언급되는 키워드가 바로 HENRY족입니다. HENRY족은 High Earner, Not Rich Yet의 줄임말로, 소득은 높지만 자산 축적에는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많은 분들이 승진이나 이직을 통해 소득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자산도 늘 거라 생각하십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자산 가격의 상승 속도를 가처분소득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집값과 주식은 꾸준히 오르는데 월급은 일정한 한계 안에서만 증가합니다. 프랑스의 한 사례인 니콜라는 고소득 1인 가구임에도 불구하고 세금과 사회보험, 높은 주거비와 물가로 인해 가처분소득이 얇아 자산을 축적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한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서울의 높은 집값과 생활비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글에서는 슈카월드에서 다룬 사례와 함께, 프랑스 니콜라와 미국 HENRY 실제 사례, 그리고 한국 청년 세대가 직면한 현실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만약 지금 통장 잔고가 늘지 않는다고 느끼신다면, 당장 소비 습관과 지출 구조를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지금이라도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고정비가 얼마나 되는지 점검해 보세요. 작은 행동이 부자가 되는 길의 첫걸음입니다.

2. HENRY족, 도대체 누구일까?

HENRY족은 단순히 돈을 잘 버는 사람이 아닙니다. 연봉이 높아도 저축과 투자가 부족한 사람들, 다시 말해 소득불평등보다 자산불평등을 더 크게 체감하는 계층입니다. 부동산이나 차량 같은 자산을 얼마나 소유했느냐의 기준이 아니고 높은 소득 대비 자산 축적이 되어있지 않아 미래에 대한 불안이 큰 세대를 뜻합니다. 

미국에서는 연봉 20만 달러를 넘게 벌어도 집값과 교육비, 의료비 때문에 HENRY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고급 레스토랑, 해외여행, 최신 전자기기 등 사회적 기대에 맞추기 위해 지출을 늘리지만, 실제로는 자산축적이 거의 없는 상태에 머무릅니다.

한국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습니다. 대기업 직장인이나 전문직 종사자가 외제차를 몰고 좋은 아파트에 살지만, 저축이나 투자 자산이 거의 없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 역시 HENRY족입니다. 겉보기에는 부유해 보이지만 속은 텅 빈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느끼신다면 지금 바로 자산 전환 루틴을 설계 보셔야 합니다. 재테크 루틴을 만들고 지출을 관리하면 달라질 있습니다.

3. 왜 돈이 모이지 않을까? (집값·고정비·FOMO 이야기)

첫째, 자산 가격 상승이 너무 빠릅니다. 소득 상승보다 집값과 주식 가격이 훨씬 빨리 오르니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따라잡기 어렵습니다.

둘째, 고정비가 지나치게 큽니다. 주거비, 교육비, 통신비, 보험료 등 매달 빠져나가는 비용이 많다 보니 가처분소득이 줄어듭니다. 슈카월드 영상에서도 강조했듯, 이런 고정비 구조를 가볍게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셋째, FOMO, 즉 ‘나만 뒤처질까 두려움’이 문제입니다. 청년 세대는 “오르는 자산을 먼저 사야 한다”는 압박을 느끼며 빚을 내서라도 투자에 나서지만, 이는 안정적 자산 형성보다는 불안정한 모험 투자를 반복하게 만듭니다. SNS에서 남들의 소비를 보며 과소비로 이어지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이제는 과소비와 비교심리를 끊어내야 합니다. 오늘 바로 내 소비 내역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것부터 시작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왜 돈이 모이지 않을까? (집값·고정비·FOMO 이야기) 왜 돈이 모이지 않을까? (집값·고정비·FOMO 이야기) 왜 돈이 모이지 않을까? (집값·고정비·FOMO 이야기)

4. 나만의 소비와 투자 루틴 만들기

부자가 되려면 단순히 소득을 늘리는 것보다 소득을 자산소득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즉, 내가 번 돈이 배당, 이자, 임대, 사업 수익으로 돌아오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첫째, 고정비를 줄여야 합니다. 주거비는 월 소득의 15% 이내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둘째, 강제저축률을 설정해야 합니다. 매달 자동이체를 걸어두면 꾸준히 저축 습관이 만들어집니다.
셋째, 자산 바스켓을 미리 설계해야 합니다. 주식, 채권, 현금, 대체자산을 균형 있게 배치하면 불안정한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넷째, 이직이나 승진으로 소득이 늘었을 때 소비를 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른바 라이프스타일 인플레이션을 차단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본인의 재테크 루틴을 종이에 적어보세요. 그리고 하나씩 실천하면 분명히 달라집니다.

나만의 소비와 투자 루틴 만들기

5. 부자가 되려면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HENRY족의 가장 큰 교훈은 소득만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소득 격차보다 더 빠르게 벌어지고 있는 것이 바로 자산 격차입니다. 자산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간극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소득을 자산으로 얼마나 빨리 전환할 수 있느냐입니다. 지금의 월급을 소비로 흘려보내면 언젠가는 불안정한 노후를 맞이하게 됩니다. 지금부터라도 내가 버는 돈의 일부를 배당이나 이자, 임대 수익, 소규모 사업 같은 현금흐름을 만들어내는 자산으로 바꿔두는 게 필요합니다. 이런 구조를 일찍 시작할수록 자산 격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실천해 보세요. “내 고정비와 저축률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보시면 행동이 훨씬 쉬워집니다.

 

연봉이 높아도 자산이 쌓이지 않는 이유, 바로 HENRY족 현상입니다. 지금부터라도 고정비를 줄이고 자산소득으로 전환하는 루틴을 설계한다면 누구나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을 읽으신 분들은 당장 행동으로 옮겨 보세요. 지금 바로 본인의 소비 내역을 점검하고, 작은 습관부터 고쳐 나가면 분명히 부자가 되는 길이 열릴 것입니다.

부자가 되려면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